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마인드셋

by 건강한 라이프 2024. 9. 1.
반응형

마인드셋은 결정 이론과 일반 체계 이론에서 한명 이상의 사람이나 집단의 추정, 방법, 의견 등을 말한다. 또한 마인드셋은 한 사람의 세계관이나 생의 철학에서 나왔다고 본다. 인지심리학에서는 마인드셋을 주어진 과업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인지과정을 의미한다. 
집단적 마인드셋의 내재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은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에릭슨의 1974년 저작에서 집단정체성 및 그가 평생 계획이라고 한 것의 분석은 이와 관련 있다. 에릭슨은 미국 인디언들 사례를 들었다. 인디언들은 집 한 채와 현금으로 가득한 은행 계좌로 표현되는 부를 목표로 하는 근대적 평생 계획의 내용을 채우도록 하는 재교육 과정을 받도록 하였다. 에릭슨은 인디언의 집단 역사 정체성이 근본적으로 너무나도 다른 이치와 목표에 맞춰져서 방향성이 전혀 다른 평생 계획들에 관한 소통조차 어려워졌다고 기술한다. 예를 들어 기업가적 마인드셋을 갖춘 조직과 기업가적 수행 사이에는 두 관계가 있다. 첫째는 기업가적 철학이 있는 조직은 기업가적 목표와 전략을 세울 것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조직은 기업가적 환경을 양성하여 각 실체가 새로운 기회들을 추구하도록 할 것이다. 즉 마음에서 코드화된 마인드셋으로서의 철학적 자세는 어떤 가치들을 불러서 일으키는 기후를 형성하고, 이러한 가치들은 다시 실천으로 이어진다. 
캐럴 드웩에 의하면, 자기 능력이 어디에서 왔는지에 관한 내적 관점에 따라 개인들은 하나의 연속체 속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진학이라든지 실직과 같은 위기나 곤경에 대해 어떻게 대면하고 대처하는지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마인드셋이 영향을 준다. 드웩은 개인의 행동, 실패에 대한 반응에 따라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본다. 고정 마인드셋은 이들은 능력이 타고난 것이며 실패를 필수적인 기본 능력의 결여라고 해석한다. 고정 마인드셋에서 개인은 자신의 기본 능력, 지성, 재능은 고정된 특질이라고 생각한다. 고정 마인드셋의 소유자들은 재능이나 능력의 증강이 없다고 본다. 이들은 자신이 가지게 될 능력들은 모두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자신의 성공에 대해서만 듣기를 좋아한다. 반면 이들은 실패에 대하여 미래에 성공할 수 없다는 것으로 생각하기에 실패를 두려워한다. 드웩에 의하면 성장 마인드셋의 소유자들은 곤경 속에서도 열심히 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성장 마인드셋의 소유자들은 자신이 노력이나 연구를 투입할 경우 주어진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드웩은 성장 마인드셋이 스트레스가 적고 성공 확률이 높은 삶을 살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성장 마인드셋에서 개인은 자신의 재능과 능력은 노력, 좋은 교육, 꾸준함을 통해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반드시 만인이 동일하다거나 누구든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고 열심히 하면 더 똑똑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드웩의 마인드셋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 현장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마인드셋이 한 학생의 학업 수행 능력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드웩의 2010년 저작 '천재도 열심히 한다' 에 의하면, 학생이 들인 노력, 학생이 사용한 전략, 학생이 한 선택, 학생이 보인 꾸준함 등 학생이 수행한 과정들에 대한 포상은 학생이 성공할 때 '똑똑하다'고 말해주는 것보다 올바른 포상과 격려가 장기적인 이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자가 학생들에게 학급의 일을 수행하도록 유의미한 학습활동을 세심하게 구상하고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저작에서 드웩은 교사는 도전 거리가 될 힘든 일에 대하여 재밌고 흥미로운 것으로 묘사해야 하지만 쉬운 일은 지루하고 두뇌에 덜 유익한 것으로 묘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번째 전략은 성장 마인드셋을 사용하도록 의도하는 것과 관련된 수업을 하는 것이다. 가능한 활동으로는 개인적 목표 수립, 편지 쓰기, 못했지만 잘하게 된 것을 공유하게 하기 등이 있다. 2018년 후세인의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에 관한 성찰적 일기 쓰기 효과가 입증되었다. 일기 쓰기 활용은 글쓰기를 통한 생각 이해 높이기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교육 현장에 관한 상당한 연구들이 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 채택 능력에 주목했지만, 교사들의 마인드셋과 이들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역할에 대하여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패트릭과 조시의 2019년 연구에서, 교사가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을 설명하는 방식이 탐구되었다. 150개의 반구조화 인터뷰를 통하여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교사가 이전부터 갖고 있던 학습과 학습자에 관한 신념은 이러한 마인드셋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다루는지에 영향을 준다. 둘째, 교사 대부분은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을 각각 긍정적 특질과 부정적 특질로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교사들이 교실에 성장 마인드셋 이니셔티브를 성공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교수 훈련과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성장 및 고정 마인드셋에 대한 드웩의 연구 및 이론은 위기 학생의 개입 전략에 유용하였다. 교사와 학생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서 관한 부정적인 선입견 없애기, 회복탄력성에 대한 자기 이론의 영향력 이해하기, 과정 포상이 성장 마인드셋을 배양하고 학생의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식 이해하기가 그것이다. 연구들은 노력으로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교육자들이 성장 마인드셋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 전략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반응형